-
[엘카데미 챌린지] IT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이해하기 1일차코딩 챌린지 2023. 7. 27. 12:03
우리는 카카오톡, 토스 같은 서비스를 사용하지만 그 서비스들이 어떤 과정을 만들어졌는지는 잘 모른다. 'IT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이해하기' 강의를 들으면 조금이나마 소프트웨어 서비스들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알 수 있을까 궁금해 수강하게 되었다.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란 웹사이트 또는 앱을 만드는 모든 프로젝트를 뜻한다고 한다. 더 넓은 의미로는 관리시스탬을 만들거나 컴퓨터나 스마트폰에서 돌아가는 솔루션을 만드는 것도 포함된다고 한다. 소프트웨어가 만들어지기까지는 여섯 가지 과정을 거치는데 기획-디자인-퍼블리싱(프런트엔드 개발)-개발-테스트-오픈이라는 일련의 과정이다.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권한에 따라 직무가 나뉘는데 PMO, PM, PL, PA로 나뉜다. PMO는 Project Management Office의 약자로써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그룹또는 인력을 말한다. 직접적으로 디자인이나 개발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 안정적인 프로젝트 진행을 위해 인력, 장비, 일정조정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PM은 Project Manager의 약자인데 프로젝트 실무 진행을 총괄 관리하는 책임자이다. 기획, 디자인, 개발팀별 PM이 있다. PL은 Project Leader의 약자로서 각 팀 안에서 파트별 리더이다. 그리고 PA는 Project Assistant로서 각 파트에 소속된 실무 수행자이다.
착각하기 쉬운것은 PM이라는 게 Project Manager과 Product Manager 두 가지가 있는데 Project Manager은 프로젝트의 책임자를 뜻하지만, Product Manager는 서비스나 제품을 관리하는 책임자를 뜻한다는 차이가 있어 헷갈리지 않아야 한다. 나도 PM이라는 말을 들어봤지만 두 가지 종류의 PM이 있다는 것을 처음 알았다.
'코딩 챌린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엘카데미 챌린지] IT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이해하기 3일차 (0) 2023.07.29 [엘카데미 챌린지] IT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이해하기 2일차 (0) 2023.07.28 [엘카데미 챌린지] 누구나 이해하는 머신러닝 기초 3일차: 머신러닝 시스템 (0) 2023.07.26 [엘카데미 챌린지] 누구나 이해하는 머신러닝 기초 2일차: 누구나 이해하는 머신러닝의 원리 (0) 2023.07.25 [엘카데미 챌린지] 누구나 이해하는 머신러닝 기초 1일차: 머신러닝의 시대 (0) 2023.07.24